알렉사 순위를 통해 알아보는 국내 검색엔진 세계 랭킹, 2015년
알렉사 순위는 아마존의 자회사인 알렉사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랭킹 순위입니다. 알렉사 순위를 이용하면, 특정 사이트의 전세계 순위와 국가 내 순위르 알 수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국내 검색 엔진의 세계에서의 점유율과 랭킹을 한번 확인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대표적인 해외 검색엔진과는 어떤 차이를 가지는 지 한번 살펴보았습니다.
우선 현재 국내의 웹사이트의 랭킹을 살펴보았습니다.
단연 1위는 네이버네요. 그리고 2위는 다음이라고 생각했었는데, 놀랍게도, 구글 코리아가 2위입니다. 3위역시 구글이네요. 그리고 아마존, 유투브. 페이스북, 뽐뿌순으로 나옵니다. 점점 구글의 국내 검색엔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져 가는 것을 반영하는 것 같습니다. 다음의 분발을 기대합니다.
그럼 검색엔진 랭킹을 확인해볼까요?
알렉사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우측 상단의 사이트 입력란에 알아보려는 사이트의 주소를 입력하면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한국 검색 엔진 순위 1위인 네이버입니다.
국내 알렉사 랭킹은 1위, 세계 알렉사 랭킹은 64위로 나오네요. 현재 글로벌 랭킹 순위에서는 다소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거의 부동인 것 같기도 합니다. 이는 네이버가 더이상 올라갈 곳이 없는 최고 정점에 서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잘해야 본전, 못하면 떨어지는 그런 상황일까요? 하지만. 국내 점유율에서 꾸준한 1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 대단하게 보입니다.
그리고 네이버에 대해 살펴보면서 흥미로웠던 것이, 국가별 네이버 방문자 수에서 미국으로부터 유입되는 방문자도 꽤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와 활발하게 인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국가의 상황을 반영한다고도 볼 수 있겠죠.
다음은 알렉사 국내 순위에서 2위로 나타난 구글 코리아 입니다.
구글 코리아의 글로벌 알렉사 랭킹은 99위. 국내 알렉사 랭킹은 2위로 나옵니다. 이 알렉사 랭킹의 의미를 좀 더 이해할 필요가 있겠네요. 이때까지 다음이 국내 검색엔진 2위로 알고 있었는데, 알렉사 랭킹에서는 다음이 구글의 다음으로 나타나고 있어서, 알렉사 랭킹과 검색엔진 순위가 일치하는 것인지 어떤지 궁금증이 일어납니다. 우선 이 글에서는 알렉사 랭킹을 기준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코리아의 경우 흥미로운 것이, 한국과 미국에서의 접속자가 대부분입니다. 아마 구글에서 한글 검색을 할경우, 해외에서는 구글 코리아로 접속하지 않고 곧바로 구글로 접속하기 때문에, 구글 코리아의 알렉사 순위에서는 방문자 접속 국가에서 다른 국가 비중이 줄어든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다음은 국내 알렉사 순위 3위로 나타난 구글입니다.
구글의 알렉사 순위는, 전세계 1위입니다. 국내에서의 순위는 3위로 나타납니다.
다음은 한국 검색 엔진 순위 2위로 알고 있는 다음입니다.
다음은 국내 알레사 랭킹은 4위 세계 알렉사 랭킹은 140위로 나오네요. 네이버에 비해서 세계 랭킹이 한참 밑으로 나옵니다. 그 만큼, 한국 검색엔진 시장에서 1위와 2위의 격차가 크다는 반증을 나타내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점점 상승세가 보이고 있습니다. 다음과 카카오의 합병이후 조금씩 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일까요? 앞으로가 더 궁금해지는 다음입니다.
그리고 다음의 경우 일본에서의 방문자 수가 네이버의 0.6%에 비해 1.4%로 다소 높게 나타납니다. 흥미롭네요.
다음으로는. 기타 등등에 속하는 검색엔진입니다. 관계자분께 죄송.. ^^;
네이트 닷컴입니다. 알렉사 글로벌 랭킹 792위
줌입니다. 알렉사 랭킹의 상승세가 두드러지네요. 그래도 글로벌 랭킹은 2,060위..;;
알렉사 랭킹을 살펴보면서, 현재 국내 인터넷 검색엔진의 랭킹을 살펴보았습니다. 알렉사 랭킹 기준은 사이트 방문자 트래픽을 토대로 산정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최상위 레벨의 도메인을 기준으로 랭킹을 산정하므로, 하위 도메인이나, 하위페이지는 반영되지 않는다고 하네요. 이런 것들이 아까 살펴보았던 순위에서 구글이 다음보다 알렉사 랭킹상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이유인 것 같습니다. 또한 알렉사 유저의 방문 트래픽을 토대로 산정한다고 합니다. 인터넷 자료를 보면 이는 알렉사 툴바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하는데요. 알렉사 툴바를 설치하지 않은 대부분의 사용자의 방문 기록은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이 랭킹은 제한적으로 해석되고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